728x90
오늘부터 UXUI 개인 과제가 시작되는데
들어가기에 앞서 미니 실습과제가 주어졌다.
에브리타임과 블라인드의 서비스에 대해서 비교하는 것이다.
우선은 둘다 잘 알고 있는 어플이라 다행이었다.
사실 두개 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진 않았지만,
앱을 깔아보고,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.
나의 경험과 리서치를 통해 얻은 정보들을 추합해보았다.
1. 에브리타임과 블라인드는 각각 어떤 서비스인가요?
- 에브리타임 : 대학생활을 위한 플랫폼 / 주요 기능 : 학교별 커뮤니티, 시간표 작성, 강의 정보, 중고거래 등
- 블라인드 : 직장인을 위한 플랫폼 / 주요기능 : 익명 게시판, 현직자 리뷰
둘 다 공통점은 특정 타겟인 대학생과 직장인을 중심으로한 커뮤니티 서비스이다.
익명이라는 특징으로 솔직한 리뷰와 다양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.
- 나같은 경우는 온전히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
에브리타임은 시간표 작성을 위해 앱을 사용했고,
블라인드는 기업 리뷰를 보기 위해 사용했다.
- 하지만 요즘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를 보면 익명이라는 특징으로 인해
다양한 가십거리들이 넘쳐나고, 자극적인 내용들로 인해
다른 온라인 커뮤니티까지 내용이 퍼지면서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 같다.
그 특징은 아무래도 더 많은 연령대 사람이 모여있는
블라인드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 같다.
2. 에브리타임/블라인드의 사용자는 각각 어떤 사람들일까요?
- 에브리타임
- 인구 통계학적 분류
- 20대 초중반, 남녀 다 존재하지만 여성의 이용행태가 더 적극적이다.
- 교육 수준은 대학교 재학이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블라인드보다 높을 수도 있다.
- 소득 다양하지만 블라인드보다 평균 낮음, 직업 대학생, 서울/경기 거주, 미혼 - 행동 패턴
- 신학기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늘어났다가 연말로 갈 수록 감소한다.
- 학기 중에 실제 학교 생활에 전반하여 유용한 정보들을 얻는다. - 감정/생각
- 이번 학기 시간표는 어떻게 짜야할까?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짰지?
- 학교 근처 맛집이 궁금하다.
- ㅇㅇㅇ교수님 수업은 어려울까? 과제가 많은지도 알고 싶다.
- 블라인드
- 인구 통계학적 분류
- 20대~50대, 40대가 제일 많음, 가입자는 남성이 3배 더 많지만, 여성의 이용행태가 더 적극적이다.
- 교육수준은 고졸~대학원졸 까지 다양. 고졸 취업자도 있기 때문에 에브리타임보다 평균적으로 낮을 수도 있다.
- 소득 다양하지만 에브리타임보다 평균 높음, 직업 다양, 서울/경기 거주, 기혼 - 행동 패턴
- 출근 시간부터 사용량이 늘어나고, 퇴근 시간 후 더 늘어난다.
- 23시 이후로는 줄어드는 양상이 보여진다. - 감정/생각
- 이직할 회사의 사내 문화가 어떤지 궁금해
- 회사 상사 짜증나
- 출퇴근길에 심심하니까 그냥 커뮤니티나 보자
3. 에브리타임/블라인드의 사용자는 각각 어떤 니즈나 문제를 갖고 있을까요?
에브리타임
- 니즈
- 학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확인
- 현재 학교와 관련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얻고 싶음 - 문제
- 신입생이라서 학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움
블라인드
- 니즈
- 회사에 대해 익명으로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싶음
- 실무진의 실질적인 이야기를 듣고 싶음 - 문제
- 익명으로 글을 올릴 공간이 없음
- 사내 게시판 이외에 같은 회사 사람들끼리 정보 공유하는 곳이 없음
반응형
'UXUI 스터디 > UXUI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XUI 디자인 입문] 과제 2 : 디자인 원칙을 활용한 레퍼런스 분석 (0) | 2024.06.11 |
---|---|
[UXUI 디자인 입문] 과제 1 : 디자인씽킹에 기반한 아이디어 도출 (1) | 2024.06.10 |
[UX/UI 디자인입문] 레퍼런스 분석하기: 카카오톡 (1) | 2024.06.07 |
[UX/UI 디자인입문] 디자인 원칙의 실제 사례 찾아보기 (1) | 2024.06.05 |
[UX/UI 디자인입문] 테스트케이스 + 디자인 QA로 발견한 이슈 공유하기 (0) | 2024.06.04 |